Benjaboys in Maronie



<상처, 탈피, 복원>


Benjaboys in Maronie 캠페인은


거리(광장)라는 개방적 공간에 Benjaboys의 철학을 담아


강력한 무대로 변환하겠다는 기획에서 시작되었다.



골방이라는 좁은 개인의 공간과 마로니에 공원이라는 공적 공간을 대조,


광장에 놓인 Benjaboys의 골방은 무채색의 벽체 안에 


거칠고 불완전한 질감을 담아내었다.


좁고 갇힌 듯한 구조 내에서 욕망을 숨기고 억누르는 이미지를 전시하였다.


공간 안에 존재하는 욕망은 광장이라는 공적 무대로 나왔을 때 수용되지 못한다.



억압되고, 흔들리지만 탈피하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는 우리 세대의 모습을 통해


캠페인은 사회적 규범과 제재를 마주하며 살아가는 


현세대의 방황과 탈피의 몸짓을 시각화하였다.


공공성과 군중이 뒤섞이면서도 콘크리트의 거친 질감을 담은 해당 공간에서


우리는 하나의 움직임을 제안한다. 




<Scars, Liberation, Restoration>

 The Benjaboys in Maronie campaign began with the vision of transforming

 a public, open square into a powerful stage infused with the philosophy of Benjaboys. It contrasted the confined, private space of a small room with the public expanse of Maronie Park. Within the square, Benjaboys placed its own small room installation, framed by monochromatic walls and filled with rough, imperfect textures. This narrow, enclosed structure displayed the image of desire being hidden and suppressed. Yet, when this desire stepped out onto

the square — a public stage — it could not be fully accepted. It remained constrained, shaken, but still refused to stop trying to break free. Through this work, the campaign visualized the gestures of wandering and escape in today’s generation, who live facing social norms and restrictions. In a space where publicness and crowds intertwined, alongside the rough textures of concrete, we proposed a single movement.  

floating-button-img